2023년 예산에 청년 도약 계좌 정책을 반영하고 그에 따른 기본 구조를 발표하였습니다 당초 10년 1억 만들기 에서 5년 5천 만들기로 변경되었습니다 어떤 기준이 변경됐는지 가입조건 등 자세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
가입 조건
- 만 19세 ~ 만 34세
- ※ 병역 이행자 최대 6년 나이 계산 반영
- 직업·무직자·대학생 관계없음
-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
-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- ※ 2022년 기준 2인 가구 월소득 586만 8천 원 이하
개인소득 기준이 완화되고 가구소득 중위 조건이 추가되었습니다 신청 전 복지로 사이트에서 중위소득 모의계산을 하시기 바랍니다
청년 도약 계좌 출시일
- 2023년 7월 ~ 12월
정부는 2023년 예산이 확정되는 대로 금융회사와 세부 사항을 논의 후 발표한다는 내용입니다
납입 금액 및 만기 이자
5년 만기 월 40만 원 ~ 70만 원 납입으로 정부에서 최대 6% 를 매칭하고 은행금리 3% 까지 더해 만기 시 최대 5천만 원 까지 모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 또한 비과세 이기 때문에 일반 은행 적금 보다 평균 300만 원 을 더 모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별 소득 수준 및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
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
내년 에는 청년희망적금을 출시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2년 만기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청년 도약 계좌와 중복 가입할 수 있고 청년 도약 계좌로 갈아탈 수 있게 한다는 방침입니다
은행보다 높은 금리, 이자 비과세는 충분이 메리트가 있습니다 하지만 당초 예상보다 많이 축소된 금액 이라서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또한 가구 소득 중위 기준이 추가된 것 또한 반길만한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번 정책으로 해당 연령의 30% 인 300만명 정도가 기준에 들것이라는 예측입니다 지원 금액은 적어졌지만 혜택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늘어난 것 만으로 만족해야 될 거 같습니다
앞으로 청년 도약 계좌에 관하여 새로운 소식이나 정책이 발표되면 빠르게 안내드리겠습니다
'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호우 특별재난지역 재산피해 신고 누리집 (0) | 2022.09.02 |
---|---|
심야 택시 요금 인상안 (0) | 2022.09.01 |
2022년 청각장애 보청기 보조금 절차 (0) | 2022.08.30 |
2022 상생소비복권 응모 방법 (0) | 2022.08.28 |
2022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확인 신청 방법 (0) | 2022.08.27 |
댓글